전체 글30 목표시장 선정에 따른 마케팅 전략 2가지 마케팅 목표시장을 선정한 후에는 목표시장에 맞는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목표시장 선정에 따른 마케팅 전략 목표시장별 마케팅 전략은 크게 2가지 기준에 따라 수립할 수 있습니다. 1) 목표시장의 규모별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달리하는 전략 2) 자사의 시장 지위에 따라 마케팅 전략을 달리하는 방법입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목표시장의 규모별 마케팅 프로그램 달리하는 전략 목표시장은 규모에 따라 대중시장, 세분시장, 니치마켓, 개인시장으로 분류됩니다. ① 대중시장(또는 대량시장) mass market 전체 시장을 세분하지 않고 전체 고객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보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마케팅하는 전략입니다. 예컨대 쌀, 과일과 같은 제품은 하나의 제품으로 전체 시장에 대량 판매하는 경.. 2024. 2. 21. 마케팅 시장 표적화 절차 5단계 시장 표적화는 세분시장 중에서 자사에게 매력적인 시장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유의할 점은 경영자가 선호하는 시장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규모 등 객관적인 기준에 의거하여 목표시장을 선정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목차 시장 표적화 절차 5단계 시장 표적화는 5가지의 절차에 따라 진행됩니다. 1. 평가항목 선정 세분시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평가항목을 제일 먼저 선정해야 합니다. 평가항목은 흔히 시장 분석, 경쟁 분석, 자사 분석의 3가지를 선택합니다. 시장 분석은 시장의 매력도를 평가하는 것이며, 경쟁 분석은 현재 향후 경쟁정도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자사 분석은 진출할 시장과 자사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보조평가항목으로 고객 분석을 추가합니다. 2. 평가지표 선정 앞서 선정한 평가항목별로 평.. 2024. 2. 19. 마케팅 전략 STP 중 시장 표적화와 목표시장 마케팅 전략의 STP 중 T에 해당하는 시장표적화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마케팅 STP의 전체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케팅 STP, SP전략 & PDCA사이클 / SMART 목표 수립 마케팅 STP, SP전략 & PDCA사이클 / SMART 목표 수립 마케팅 목표 수립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는 STP전략, SP전략과 PDCA사이클이란 단어인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볼까요? 목차 마케팅 목표 수립절차 like-snowball.tistory.com 목차 시장 표적화란? 마케팅 전략에서 첫 번째 단계인 시장 세분화(Segmentation)를 했다면, 다음 단계는 '어떤 세분시장에 진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어떤 시장에 진출할 것인가를 .. 2024. 2. 18. 마케팅 시장 세분화 절차 및 요건 5가지 마케팅 STP전략에서 S에 해당하는 시장 세분화는 절차와 요건이 각 5가지씩 있습니다. 이 글은 시장 세분화 절차 5가지 순서와 시장 세분화 요건 5가지에 대해 정리했으니 끝까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시장 세분화 절차 시장 세분화 절차는 세분화 수준 결정, 세분화 변수 선택, 세분화 실시, 세분화 요건 점검, 세분시장 평가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1. 세분화 수준 결정 시장을 세분화하려면, 세분하고자 하는 제품과 시장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세분화 수준 결정이라고 부르는데요. 제품은 여러 가지 종류 중에서 세분화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하고, 기존 제품 또는 신제품 중에서도 선택해야 합니다. 시장은 전체시장과 특정시장, 소비재 시장과 산업재 시장, 기존 시장과 새로운 시장 중에서 선택하면 됩니다. 2.. 2024. 2. 8. 마케팅 전략 STP - 시장 세분화 (소비자 시장 · 산업재 시장 세분화) 마케팅 전략을 일반적으로 STP전략이라고 지칭합니다. STP 전략이란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시장 표적화 (Targeting), 시장 위치화(Positioning)의 단계로 진행되는데요. 자세한 마케팅 STP전략은 이전 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케팅 STP, SP전략 & PDCA사이클 / SMART 목표 수립 마케팅 목표 수립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는 STP전략, SP전략과 PDCA사이클이란 단어인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볼까요? 목차 마케팅 목표 수립절차 like-snowball.tistory.com 오늘은 이 과정들 중 첫 단계 S에 해당하는 시장 세분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장 세분화는 무엇인지 시장을 분류하게 되면 소비자 시.. 2024. 2. 7. 마케팅 목표 설정 (정량적, 정성적 방법, 간편 추정법) 매출액 추정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크게는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 간편 추정법으로 구분됩니다. 오늘은 이 3가지 방법에 대한 세부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마케팅 목표를 수립할 때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지표가 매출액 목표이죠. 매출액 목표를 설정할 때 과거의 매출액 분석과 미래의 매출액 추정 작업부터 시작됩니다. 과거의 재무자료, 전문기관의 분석자료 등을 통해 매출액 증가 가능성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매출액을 추정하며 추정 손익계산서 작성, 추정 재무상태표 작성 순서로 진행됩니다. 정량적 방법 정량적 방법은 객관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매출액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에는 과거 실적자료 기반 추정, 사업계획 기반 추정, 시장 점유율에 의한 추정방법이 있습니다. 1. 과거 실적자.. 2024. 2. 6. 마케팅 목표 종류 (정량목표, 정성목표) 마케팅 목표에는 종류가 있습니다. 바로 구체적 숫자가 있는 정량목표와 비계량 측면의 정성목표가 있는데요. 오늘은 이 두 가지 목표에 대해 알아보고 사례까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마케팅 목표 종류 정량목표 정량목표는 매출액 목표, 이익 목표, 점유율 목표 등으로 구분되는 구체적인 숫자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3년간 매출액 평균 증가율 10%, 3년 후 시장점유율 20% 증가, 3년 후 유통 판매량 1.5배 증가, 3년 후 영업이익률 30% 달성 등이 정량 목표가 됩니다. [ 마케팅 목표 설정 사례 ] - 정량목표 : 3년간 평균 매출액 성장률 10% 달성 (단위 : 억원, %) 2024년(현재) 2025년 2026년 2027년 제품별 판매액 (증가율) 총매출액 300 320 (6.7%) 355 (11%) .. 2024. 2. 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