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목표 수립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는 STP전략, SP전략과 PDCA사이클이란 단어인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볼까요?
목차
마케팅 목표 수립절차
마케팅 목표는 마케팅 계획이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중요한 출발점이 됩니다. 마케팅 목표는 신설회사의 경우 회사를 설립한 직후 영업 계획을 수립할 때 마케팅 계획과 함께 수립됩니다.
기존회사의 경우 이미 만들어진 중장기 마케팅 목표가 있지만, 매년 1년 단위로 마케팅 단기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하게 됩니다.
그리고 마케팅 환경이 크게 변화하거나 중장기 마케팅 목표를 수정할 필요성이 있을 때, 또는 신상품을 개발하거나 경쟁사의 시장점유율이 크게 상승할 때 특별 마케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마케팅 목표를 다시 설정하게 되죠.
마케팅 목표를 설정하려면 선행작업이 필요한데요. 마케팅 조사, 소비자행동 분석, 환경 분석, 경쟁력 분석 등 선행작업이 있습니다.
이 선행작업의 결과를 토대로 기업목표가 설정되면 마케팅 파트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마케팅 목표를 수립하게 됩니다.
STP전략
마케팅 목표가 설정되면,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세부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게 됩니다. 마케팅 전략은 통상 STP전략으로 표현되는데요.
STP전략은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시장 중에서 목표시장을 선정하고, 목표시장에서 자사 제품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위치화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 S (세분화) - Segmentation
- T (선정) - Targetion
- P (위치화) - Positioning
4P 전략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면, 세부실행전략이 수립됩니다. 세부실향전략을 4P 전략이라고 합니다. 제품, 가격, 유통, 촉진의 4가지 분야에서 세부실행전략을 수립하게 됩니다.
- 제품 - Product
- 가격 - Price
- 유통 - Place
- 촉진 - Promotion
PDCA 사이클
세부실행전략이 수립되면, 실천과제를 수립합니다. 실천과제는 마케팅 목표와 마케팅 전략을 모든 직원들이 실행에 옮기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들을 말합니다.
회사 조직을 개편하고 필요한 인력을 충원하고, 브랜드 전략, 고객관리, 품질관리, 유통관리 등 분야별로 실행에 옮길 과제를 수립합니다. 이때 소요 예산과 추진일정도 아울러 제시되어야 되겠죠.
이렇게 마케팅 목표와 전략이 수립되면, 실제 실행에 옮기게 됩니다. 하지만 마케팅을 실행하면서 당초 계획한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수시로 피드백과 개선이 이루어져야 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PDCA 사이클입니다.
- P (계획) - Plan
- D (실행) - Do
- C (평가) - Check
- A (개선) - Action
Plan(계획) → Do(실행) → Check(평가) → Action(개선)의 순서대로 마케팅 계획을 실행하면서 실행이 지연되거나 문제점이 발생되면, 그 이유와 원인을 찾아내고 필요한 조치들을 취하여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마케팅 목표는 상위개념(기업사명, 경영비전, 경영목표)과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하위개념(STP 전략, 4P 전략, 세부실행전략 등)과 치밀하게 연계되어 일사불란하게 추진되어야 새롭게 설정한 기업목표와 마케팅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됩니다.
마케팅 목표 수립 유의사항 5가지 (SMART)
마케팅 목표가 마케팅 계획이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출발점인 만큼 마케팅 목표를 설정할 때는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먼저 마케팅 목표는 일관성이 있어야 됩니다. 선행작업이라고 설명한 마케팅조사, 소비자행동 분석, 환경 분석, 경쟁력 분석의 결과가 정확하게 반영되어야 하며, 기업이 지향하고자 하는 기업사명이나 기업비전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마케팅 목표는 SMART 하여야 합니다. 마케팅 목표는 기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이어야 하고, 측정 가능해야 하며, 실현 가능성이 있어야 하고, 현실적이어야 하며, 단계적으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 S (구체적) - Specific
- M (측정가능) - Measurable
- A (실현 가능성) - Achievable
- R (현실적) - Realistic
- T (단계적) - Time-bound
예를 들어 영어공부를 하겠다는 목표를 세울 경우 어떻게 목표 수립하여야 하는지를 마케팅 기법을 통해 말해보겠습니다.
- 구체적인 목표 - 단순히 영어공부를 열심히 하겠다는 목표가 아니라 ' 1년 후 토익 950점'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가 수립되어야 합니다.
- 정기적 측정 가능 - 현재 850점의 실력을 '6개월 마다 50점씩 향상시키자!'라는 중간목표를 세우고 달성여부를 6개월마다 측정할 수 있어야겠죠.
- 실현 가능성 - 뜬구름 잡기식의 지나치게 높은 목표 설정은 금물입니다. 현재의 실력을 감안하여 손에 잡히는 목표를 설정해야 됩니다.
- 현실적 - 하루 종일 영어공부에 매달릴 수는 없습니다. 다른 과목도 공부해야 하고, 알바도 해야 되고, 친구와의 약속 등도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시간이 감안되어야겠죠. 독학으로 할 것인지 학원을 다닐 것인지 등 현실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됩니다.
- 단계적 - 6개월마다 달성할 목표를 설정하여 6개월마다 모의시험을 치르고, 매주 · 매월 · 6개월 · 1년 공부할 분량도 목표에 포함시켜야 됩니다. 목표 달성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마케팅 브랜드 종류 뜻 알아보기 (제품 · 기업 · 개별 · 패밀리 · 공동 브랜드)
마케팅에서 말하는 브랜드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제품 브랜드, 기업 브랜드, 개별, 패밀리, 공동 브랜드 등등 많죠. 오늘은 각 브랜드 뜻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목차 ] - 브랜드 종류
moom-moom.com
마케팅 브랜드 용어 및 요소 알아보기 | 심벌, 슬로건, 징글, 브랜드 자산, 아이덴티티?
마케팅 브랜드 관리에서 브랜드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건지, 브랜드 요소 및 주요 용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볼까요? [ 목차 ] - 브랜드 요소 - 브랜드 주요 용어 - 브랜드 정의 브
moom-moom.com
마케팅 제품 종류(소비재, 산업재)와 제품믹스는 무엇일까?
마케팅에서 제품을 구분할 때 소비재와 산업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소비재와 산업재는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고, 마케팅 제품믹스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 제품 종류 (소
moom-moom.com
마케팅 믹스 4P란? 제품 3대 속성 (핵심, 유형, 확장) 알아보기
마케팅에서 말하는 4P란 무엇이며 오늘은 그중에서도 마케팅에서 말하는 제품이란 무엇인지, 제품의 3대 속성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볼까요? [ 목차 ] - 마케팅 믹스 4P란? - 마케팅 제
moom-moom.com
마케팅 포지셔닝 절차 5단계 & 재포지셔닝, 포지셔닝 맵 이란?
오늘은 마케팅 포지셔닝 절차 5단계와 재포지셔닝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볼까요? [ 목차 ] - 포지셔닝 절차 5단계 - 재포지셔닝 이란? - 포지셔닝 맵 - 포지셔닝 맵 유의사항
moom-moom.com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시장 세분화 절차 및 요건 5가지 (0) | 2024.02.08 |
---|---|
마케팅 전략 STP - 시장 세분화 (소비자 시장 · 산업재 시장 세분화) (2) | 2024.02.07 |
마케팅 목표 설정 (정량적, 정성적 방법, 간편 추정법) (0) | 2024.02.06 |
마케팅 목표 종류 (정량목표, 정성목표) (0) | 2024.02.05 |
앤소프 매트릭스 및 SWOT 분석 (0) | 2023.04.14 |
GE 맥킨지 매트릭스 및 포터의 본원적 경쟁우위론 (0) | 2023.04.13 |
BCG 매트릭스 구조, 영역별 특징 및 전략 (0) | 2023.04.12 |
마케팅 경쟁력 분석 중 포터의 5 force 모형 (0) | 2023.04.11 |
댓글